웹툰 보조작가를
아시나요?
콘티, 배경, 선화, 채색 등 웹툰 제작의
각 공정을 담당하는 전문 작가로,
높은 퀄리티와 빠른 속도를 위해 분업화 된
웹툰 제작에 반드시 필요한 역할이에요
웹툰 보조작가는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을까요
웹툰 산업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는
웹툰 보조작가이지만
노동 환경에서 다양한 문제에 노출되어 있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뭐 고난과 역경이 있어야 작품이 나온다 이러는데, 아니 지금 숟가락 들 힘도 없는데 무슨 만화를 그려요.
제가 처음에는 채색까지만 하기로 했었는데 하다 보니까 배경도 하고, 후보정 작업도 하게 되고, 나중에는 펜선도 좀 하게 됐었거든요.
많은 사람들이 이 사람들이 처한 환경이라든지 아니면 이 사람들이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건지 정확하게 인지를 못해요.
그때 어떻게 일을 했냐면 60시간 동안 안 자고 원고를 그린 적이 있었어요. 그때 너무 스스로 충격 먹어서 '아 사람이 60시간 안 자도 살아 있을 수 있구나'
백조가 헤엄을 치면 수면 아래에서 엄청 열심히 움직이는 게 보이지는 않잖아요. 보조 작가님들은 그 두 다리거든요.
그 크레딧을 딛고 성장하는 건데 없애버리길 원하거든요.
계약서는 따로 작성하지 않고 일주일에 2회 마감을 하고 회당 15~ 20만원 정도 금액을 지불하겠다는 구두 계약을 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첫 화실 들어왔을 때 한 달에 30도 안 되는 금액을 받고 살았었거든요.
경력증명서는 처음 듣는 것 같아요. 저는 그런 게 있다는 것도 몰랐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어느 정도의 고료를 줘야 한다라는 가이드라인이 아예 없다 보니 어떤 회사에서는 잘 쳐줘서 15만 원, 1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20만 원. 어떤 데 가서는 야 너 그냥 배워.
웹툰 작가와 관련된 정보도 얻기 힘든데 보조작가 관련 정보는 진짜 없어요. 그래서 피해를 당하고도 이게 피해인지 알기 어려워요.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일하는지 모르니까.
저희는 언제나 고립되어서 일하기 때문에 약간 이렇게 벽이 쳐져 있는 것처럼 일한단 말이에요.
지금 직업으로서의 보조작가 안정성과 노동 환경을 얘기하면 정말 최악입니다.
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할까. 결국에는 정보 비대칭의 문제가 가장 크다라는 생각을 했어요.
정말 투명한 사람들인 거죠.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인정 받으려면 결국에는 수면 위로 올라와야 된다고 저는 생각하거든요.
이전 작품도 작가님 얼굴도 뵌 적 없고 대화도 해본 적이 없어요. PD가 중간에서 '이거 해 주세요 저거 해 주세요'하니까요.
다 달라요. 정말 다 달라요. 그러니까 이거는 정말 업계 표준이 없더라고요.
저는 보조 작가가 받게 되는 대우가 대부분 작가에게서 왔다고 생각을 해요. 작가의 기본권이 침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게 보조작가로 전가된 상황이기 때문이에요.
웹툰을 만들고 발표하는 창구가 다변화되면서 리스크 자체가 엄청나게 커지는 곳도 있다는 거예요. 그 리스크들이 보조작가나 개인 창작자들에게 많은 부분 전가되고 있다는 게 문제라는 느낌도 들어요.
불공정한 계약 문화에서 비롯된
웹툰 보조작가의 노동 문제
대금
약속되지 않은
대금 지급 조건과 체불
초과근무
불명확한 역할과
과도한 업무
크레딧
작품 내 이름 미표기에 따른
경력 증명의 어려움
정보 비대칭
표준화된 계약서의 부재로
불합리한 업무 조건에 노출
계약이란
남을 죽이면서
내가 얻는 최대의 이익이 아니라
서로가 공동선을 찾아가려는 약속이다.
윤태호 ・ 만화가
<웹툰작가에게 변호사 친구가 생겼다> 서문 중
건강한 창작 환경을 위한
토스뱅크 쉬운근로계약서
with
서울시에서 개발한 웹툰 보조작가 표준계약서를
토스뱅크 쉬운근로계약서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계약서 만들기
휴대전화로 QR 코드를 스캔하면
앱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올바른 계약의 기준,
서울형 표준계약서로
권리를 지켜요
웹툰 보조작가와 고용주 모두가
공정하게 계약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했어요
명확한 역할과 업무 범위 작성
대금 지급 시기와 조건 입력
경력 증명을 위한 작품 내 이름 표기
공정한 계약 체결 및 계약서 보관
토스앱으로
쉽고 간편하게
계약을 요청하고
체결할 수 있어요
웹툰 보조작가와 고용주 모두가
공정하게 계약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했어요
계약서 소개
약관 안내
휴대폰 번호 입력
요청 완료
OFFLINE EVENT
웹툰노동 @무비랜드
2025. 1. 17(금) - 19(일)
일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하는
모빌스그룹의 극장 <무비랜드>에서
웹툰노동 다큐멘터리와 2편의 노동 영화를 상영합니다.
다양한 이벤트와 선물도 준비되어 있으니 많이 참여해 주세요.
SPECIAL EVENT
웹툰노동 캔들
2025. 1. 16(목) - 26(일)
웹툰 보조작가의 기본적인 권리이자 4가지 계약 요소를 담은
특별한 캔들이에요. 이벤트에 참여하시면 추첨을 통해
웹툰노동 캔들을 드려요.
캠페인을 만든 사람들
웹툰노동 다큐멘터리
출연: 량량, 스텔라, 염소대왕, 원, 박유진, 이종범, 하신아, 김성주, 박종언, 문유진
제작: 토스뱅크, studio PEBS
감독: 이주호, 김예신
조감독: 안재형
프로젝트 매니징: 최민수, 문유진
기획: 최민수, 문유진, 방성은, 나현주
취재작가: 김민수
보조취재작가: 류지연
프로듀서: 김예찬, 이주호
촬영: 이큰솔, 조남현
포커스풀러: 정희윤, 설진석
촬영팀: 박찬선, 박준서, 홍석준, 김예슬
미술: 박민정
미술팀: 전승만, 최영록
편집: 이주호
음악: 이주승
그래픽 디자인: 최민수
포스터 디자인: 최민수
모션 그래픽: 이일주
애니메이션 연출: 김예신
애니메이터: 신도현, 이일주
웹툰 작화: 량량
프로덕션 사운드 믹서: 고영재
붐오퍼레이터: 박선재
색보정: 이주호
조명: 장한별, 임창욱
조명팀: 이남기, 박대영, 이상경, 김유나, 박우영, 윤창환, 이정원
발전차 기사 : 탁민, 김현민
키그립: 김용태
그립팀: 임승빈, 배윤환
메이크업 아티스트: 정덕희
헤어 아티스트: 박보경
오디오 포스트 프로덕션: 이주승
사운드 디자인: 이주승
마케팅: 방성은
웹툰 보조작가 표준계약서 자문: 서울시 노동정책과
검수: 서울시 노동정책과, 김세진, 김혜성, 윤경식, 윤성권, 이지홍, 이찬표
계약: 허영오, 이창준
웹툰노동@무비랜드
프로젝트 매니징: 방성은, 나현주
디렉팅: 모춘, 소호
기획: 이대현, 권지우
디자인: 강혜린, 오훈택
영상 촬영: 이찬표
사진 촬영: 류연희
웹툰노동 캔들
프로젝트 매니징: 나현주
기획: 나현주
디자인: 나현주
캔들 제작: 김혜인, 김호중, 김희정
패키지 제작: 권태우, 남병만, 김완
사진 촬영: 김세희
웹툰노동 홈페이지
기획: 최민수, 문유진
디자인: 최민수
프론트엔드 개발: 허서영
마케팅 협업
딜리헙
포스타입
토스뱅크 쉬운 근로계약서
프로덕트 오너: 조은별
프로덕트 디자인: 김혜미
프론트엔드 개발: 정지우, 이화랑
서버 개발: 오진영, 김경윤
데이터 분석: 이준성
QA: 김효진, 박현주, 박혜진
대외협력: 성기연
법무검토: 김세진
웹툰 보조작가 표준계약서
서울시 노동정책과
PR
토스뱅크 커뮤니케이션 팀: 이지홍, 김동연, 김미술, 김지중, 박은혜, 손현진
일하는 누구나
토스뱅크에서 안전하게
토스뱅크 웹툰 보조작가 캠페인은
서울시와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