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화비 소득공제 3줄 요약
-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는 책, 공연, 영화 관람 등 문화 소비에 대해 연말정산 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
- 2025년 7월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어요.
- 문화비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신용카드 사용액이 급여의 25%를 넘어야 해요. 또 지자체에 신고된 체육시설법 대상 시설과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곳에서 사용한 금액만 인정되어요.
우리가 책을 사거나 공연을 볼 때, 사용한 금액의 일부를 연말정산 시 소득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를 활용한다면 가능한데요. 올 7월부터는 헬스장이나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해요. 오늘은 문화비 소득공제란 어떤 제도인지, 또 어떻게 하면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 문화비 소득공제가 뭔가요?

문화비 소득공제는 책이나 공연 티켓, 영화 관람 등 문화 소비에 대해 연말정산 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가 신용카드 등으로 문화비를 사용한 경우, 그 금액의 일정 부분을 연간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는 건데요.
처음 도입된 2018년에는 도서 구매비와 공연 관람비에 한해서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었지만, 2022년에는 박물관·미술관 입장권과 신문 구독료, 2023년에는 영화 관람료가 공제 대상에 추가되었어요. 여기에 더해, 2025년 7월부터는 헬스장 그리고 수영장 이용료까지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에요.
🏊🏻♀️ 헬스장과 수영장도 이제 소득공제가 가능해요!
2025년 7월 1일부터는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에요. 헬스장이나 수영장을 이용하면서 지출한 금액의 30%를 연간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건데요. 예를 들어, 월 10만 원짜리 헬스장을 1년 동안 이용했다고 가정하면, 총 120만 원의 30%인 36만 원이 소득공제 대상이 되는 거죠. 다만, PT와 같은 맞춤형 강습비는 이번 공제 대상에서 제외되어요.
😮 왜 헬스장, 수영장 이용료까지 포함됐을까요?
이번 문화비 소득공제 적용 대상 확대에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크게 반영됐어요. 2024년 3월, ‘청년의 힘으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열린 17번째 민생토론회에서 청년들이 생활체육시설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낮춰달라고 요청한 게 계기가 되었죠. 특히 헬스장이나 수영장 같은 운동 시설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해달라는 의견이 많았어요. 이 자리에서 장미란 문체부 제2차관은 이런 의견을 적극 수용하며, 세법 개정안에 관련 내용을 반영하겠다고 약속했죠. 이런 배경을 통해,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가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게 된 거예요.
🗒️ 문화비 소득공제 조건도 알아보아요
혜택을 받으려면 몇 가지 조건을 갖춰야 해요.
1️⃣ 총급여가 7천만 원 이하인 근로소득자여야 해요. 2️⃣ 연간 신용카드 사용 금액이 총급여의 25%를 넘어야 해요. 3️⃣ 헬스장과 수영장은 지자체에 신고된 ‘체육시설법’ 대상 시설에서만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4️⃣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곳에서만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 문화비 소득공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까요?

체육시설 이용료가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국민들의 체육활동 참여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요. 또 헬스장이나 수영장을 꾸준히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운동과 관련된 소비도 늘어나며 체육 시장 자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거예요. 문체부 관계자는 “국민 건강 증진뿐 아니라, 시설, 용품, 의류 등 체육 관련 산업의 성장을 함께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지금까지 문화비 소득공제의 개념과 조건 그리고 2025년 7월부터 적용될 헬스장·수영장 이용료 소득공제까지 알아봤어요. 이 제도는 단순히 세금 혜택을 넘어, 우리 삶의 질을 높이고 체육 관련 산업에도 활기를 불어넣는 정책으로 기대되고 있는데요. 올해 운동 계획 세우고 있다면, 문화비 소득공제 혜택까지 꼼꼼하게 챙겨보세요.
*이 콘텐츠는 문화포털, 국민일보, 아시아경제의 자료를 참고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