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워진 토스뱅크 홈 구경하기
어렵기만 한 주택청약 개념부터 확실히 알아보아요 (ft. 청약통장)
부동산
토스뱅크
어렵기만 한 주택청약 개념부터 확실히 알아보아요 (feat. 청약통장)

📌 주택청약 개념 3줄 요약

  1. 청약을 할 수 있는 주택에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 있어요. 국민주택은 공공기관이 짓는 아파트를, 민영주택은 브랜드 아파트를 뜻해요.
  2. 국민주택, 민영주택 중 한 곳에 살고 싶다면 임대나 분양을 통해 들어갈 수 있어요. 임대는 정해진 기간 집을 빌려 쓰는 것이고, 분양은 청약에 당첨되어 집을 구매하고 온전한 내 집을 갖는 것을 말해요.
  3. 주택청약은 새 아파트를 분양받기 위한 제도로, 청약통장에 가입해 조건을 갖춰야 신청할 수 있어요.

[청약 들게, 새집 다오] #1. 어렵기만 한 주택청약 개념부터 확실히 알아보아요 (feat. 청약통장)

“당신이 살고있는 그곳은 좋은 집인가요?” 어느 드라마 속 마지막 대사예요. 물론 좋은 집이란 모두에게 다르겠죠. 누군가는 위치를, 누군가는 평수를 또 누군가는 시세를 먼저 확인할 테니까요. 그럼에도 그들이 입을 모아 좋다고 하는 집이 있어요. 바로 내 집이에요.

내 집을 마련한다는 건 생각만 해도 설레지만 동시에 막막해요. 날이 갈수록 집값은 오르고, 하루가 멀다고 들리는 전세사기에 움찔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죠. 이럴 때 도움이 될 방법이 주택청약이에요. 하지만 청약도 어렵게만 느껴진다면 잘 찾아오셨어요. 주택청약으로 새집 내 집 마련하는 법, 확실히 알아보아요.

🏡 국민주택과 민영주택부터 살펴보아요

본격적으로 청약을 살펴보기 전 주택의 종류부터 알아볼까요? 주택은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으로 나뉘어요. 국민주택은 국가에서 공급하는 주택, 즉 공공기관이 짓는 주택으로, 대표적으로 행복주택을 생각하면 되어요. 자세히 살펴보자면 국가·지방자치단체·LH·지방공사가 짓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과 국가·지방자치단체 또는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을 받아 짓는 주거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이 국민주택에 속해요. 반면 민영주택은 레미안, 힐스테이트와 같은 브랜드 아파트를 말해요. 국민주택 외 모든 주택이 포함되어요.

🏦 임대와 분양은 뭐가 다르죠?

위에서 살펴본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중 한 곳에 살고 싶다면,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어요. 그 집을 빌려 쓰거나, 그 집을 사는거죠. 이 방식이 바로 임대와 분양이에요.

정해진 기간동안 집을 빌려쓰는 것을 ‘임대’, 청약에 당첨되어 집을 구매하고 온전한 내 집을 갖는 것을 ‘분양’이라고 해요. 임대와 분양은 공공 그리고 민간으로 나뉘는데요. 각각 특징을 살펴볼까요?

🤔
공공·민간 차이를 알아보아요 ✔️ 공공임대 국민주택을 5년 또는 10년 동안 임대한 후 살던 사람에게 먼저 분양 기회를 주는 제도예요. ✔️ 민간임대 민영주택을 짓는 브랜드 건설사에서 임대를 목적으로 짓는 아파트를 말해요. 정해진 기간 전세나 월세로 지낼 수 있어요. ✔️ 공공분양 국민주택(전용면적 85 이하)으로 공급되는 분양 주택이에요. 공공주택사업자인 LH, SH GH 등이 공급하는 보금자리주택을 말해요. ✔️ 민간분양 민영주택을 짓는 브랜드 건설사에서 자체적으로 아파트를 짓고 분양하는 것을 말해요.

이렇게 다양한 제도 중 집을 사는 방식, 즉 분양을 위해 필요한 게 청약이에요.

🏦 그래서 주택청약이 무엇인가요?

주택청약이란 청약통장에 가입해 일정 조건을 갖춘 사람을 대상으로, 새로 지어지는 아파트의 분양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예요. 위에서 살펴 본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을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을 통해 신청하는 거죠. 청약에 당첨된다면 쾌적한 새 아파트를 초기 분양가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시세보다 저렴하게 새집을 내 집으로 마련할 수 있어요. 또 계약금을 낸 후 입주하기 전 약 3년 동안 중도금과 잔금을 나눠서 낼 수 있기 때문에 부담이 덜해요. 입주 이후에 갚아야 할 돈은 주택담보대출로 바꿀 수도 있어요.

그런데 청약을 하려면 꼭 필요한게 있어요. 바로 청약통장이에요.

💰 청약통장 먼저 만들어보아요

청약통장에는 주택청약종합저축이 있고, 청년이라면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기존 청년 우대형 종합저축)을 활용할 수 있는데요.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9개를 통해 한 명당 하나의 계좌를 만들 수 있어요. 두 청약통장의 차이를 살펴볼까요?

더불어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자 중 연 소득이 7,000만 원 이하라면, 연 300만 원 한도로 납입액의 40%까지 소득공제 받을 수 있어요. 또 비과세 한도는 500만 원으로, 근로소득 3,600만 원(사업 소득 2,600만 원) 이하라면 이자소득 역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요. 청년에 해당한다면 혜택을 꼭 살펴보세요.

청약이 목표인 우리가 눈여겨봐야 할 점이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청약 당첨자 선정 시 인정되는 납입한도예요. 원래 월 10만 원이었던 인정 한도가 월 25만 원으로 올랐다고 하는데요,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오늘은 주택의 종류, 임대와 분양 그리고 청약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어요. 주택에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이 있고, 여기 살고 싶다면 임대와 분양이라는 방법을 통해 들어갈 수 있는 거죠. 청약은 그 중 분양을 신청하기 위한 제도인데요. 청약을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청약통장이에요.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중 어느 주택에 청약하느냐, 다시 말해 공공분양과 민간분양 중 어느 방법으로 청약하느냐에 따라 조건과 입주자 선정 방식도 달라진다는데요. 다음 화에서는 공공분양과 민간분양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아요.

*이 콘텐츠는 한국부동산원 청약홈, 국토교통부의 자료를 참고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