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순위 줍줍 개편 3줄 요약
- 2025년 상반기부터 무주택자만 무순위 줍줍 청약에 신청이 가능하며, 유주택자는 지원할 수 없어요.
- 또한 거주지 요건이 강화되어, 인기 지역은 해당 거주자 우선, 미분양 지역은 전국 단위로 신청할 수 있어요.
- 무순위 청약 경쟁률은 낮아지고 실수요자에게 더 많은 기회가 돌아가겠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 우려도 나오고 있어요.
무순위 청약, 흔히 ‘줍줍’이라고 불리는 이 제도는 미계약된 주택을 추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누구나 신청할 수 있어 큰 인기를 끌었어요. 하지만 최근 발표된 개편안으로, 이제 무순위 줍줍 청약에는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게 되었어요. 갑자기 바뀐 이유는 무엇이고, 어떤 점이 달라질까요? 자세히 살펴볼게요.
🏠 무순위 줍줍, 원래는 어떻게 진행됐나요?
무순위 청약은 일반 청약에서 남은 미계약 물량을 추가로 공급하는 방식이에요. 기존에는 청약 통장이 없어도, 집이 있어도, 어디에 사는지도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었죠. 이 제도가 인기를 끈 가장 큰 이유는 시세보다 낮은 분양가로 공급되는 주택을 추첨으로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에요. 당첨만 되면 수억 원의 차익을 기대할 수 있어, 청약 가점이 낮거나 기존 청약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기회가 열려 있었죠.
예를 들어, ‘동탄역 롯데캐슬’ 무순위 청약에서는 단 1가구 모집에 294만 명이 신청하면서 청약홈 서버가 마비되었어요. 또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에서도 3가구 모집에 120만 명이 몰리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죠.
😮 로또 청약 끝? 무순위 줍줍 방식 바뀐 이유를 살펴보아요

앞서 살펴본 무순위 청약의 엄청난 경쟁률이 말해주듯이, 최근 청약 시장에서는 주택 한 채로 수억 원의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생겼어요. 이에 무순위 청약은 ‘로또 청약’이라고 불리기도 했죠. 그 결과, 수도권을 포함한 인기 지역에서는 실거주 목적이 아닌 투기성 청약이 급격히 늘어났고, 그 피해는 결국 청약이 절실한 실수요자들에게 돌아가게 되었어요. 즉, 정부는 투기 과열을 막고 실수요자 중심으로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서 무순위 청약 방식을 개편한 거예요.
🏡 무순위 줍줍 이제 무주택자만 신청할 수 있어요
이번 개편으로 인해 무순위 청약에 신청할 수 있는 대상이 대폭 제한됐어요. 정부는 2025년 상반기 내 시행을 목표로 주택공급규칙 개정을 추진 중이라고 하는데요. 어떻게 바뀌는 건지 차근차근 알아볼까요?

1️⃣ 유주택자는 신청 불가! 무주택자만 가능해요 원래 줍줍 청약은 국내에 거주하는 성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이제는 무주택자만이 무순위 청약을 신청할 수 있어요.
2️⃣ 거주지 요건이 강화되어요 기존 무순위 청약 신청에는 거주지 제한도 없었어요. 즉, 전국 어디에 거주하든 신청할 수 있었죠. 이 때문에 인기 지역의 무순위 청약에는 타지역 거주자들도 대거 몰려, 지역 실수요자들이 경쟁에서 밀리는 문제가 발생했어요. 하지만 이번 개편으로, 필요시 지자체가 지역별 여건·분양 상황에 맞게 거주지역에 요건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요.
3️⃣ 실거주 확인 절차도 강화된대요 기존에는 실거주를 확인할 때, 주민등록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 정도만 제출하면 됐어요. 하지만 이제부터 건강보험 요양급여내역까지 확인하도록 변경됐어요. 부모·자녀 포함 최대 3년 치 병원·약국 방문 기록을 제출해야 하죠. 이 제도로 위장전입 여부를 철저히 검토하겠다는 계획이에요. 이제는 거주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주소지만 옮기는 꼼수가 더 어려워진 셈이죠.
🤓 줍줍 청약 신청 방식 변경으로 부동산 시장도 달라질까요?
이렇게 무순위 청약 개편이 시행되면, 앞으로 청약 시장에도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여요.
✅ 경쟁률 하락이 기대돼요 국토부가 2024년 7월, 294만 명이 몰린 ‘동탄역 롯데캐슬’ 사례를 분석한 결과, 신청자의 40%가 유주택자였어요. 하지만 이번 개편을 통해 유주택자가 신청할 수 없고, 거주지 요건이 강화된다면 지금처럼 수백만 명이 몰리는 상황은 줄어들 가능성이 커요.
✅ 꼭 필요한 사람이 당첨될 수 있어요 그동안은 청약 점수가 낮아도 무순위 청약에 도전해 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무주택 실수요자만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집이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 기회가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요.
하지만 일부에서는 미분양 증가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요. 특히, 1·2차 청약에서도 계약자를 찾지 못하는 지방 사업지의 경우, 무주택자만으로 청약을 제한하면 미분양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 거죠.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1주택 보유자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들을 무순위 청약에서 제외하면 청약 신청자 풀이 급격히 줄어들 수 있다"며, "현재 침체된 분양시장에 더욱 악영향을 줄 가능성도 크다”고 우려했어요.
이처럼, 무순위 청약 개편이 실수요자 중심의 시장을 형성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 문제를 심화시킬 수도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이번 개편으로 무순위 청약은 무주택자 중심으로 운영되며, 거주 요건과 실거주 확인 절차도 강화돼요. 이를 통해 투기 수요를 줄이고 실수요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가 돌아갈 것으로 기대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미분양 우려가 커질 가능성도 있죠. 상반기 중 제도가 시행되면 청약 경쟁률과 시장 흐름에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무순위 청약을 고려하고 있다면 달라진 신청 요건과 지역별 거주 제한을 꼼꼼히 확인하고, 본인에게 맞는 청약 전략을 다시 점검해 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요.
*이 콘텐츠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의 자료를 참고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