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3줄 요약
- 전화금융사기를 당했다면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게 대응해야 해요. 가장 먼저 112와 금융사 고객센터에 즉시 신고하고,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세요.
- 나도 모르는 새 핸드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었을 가능성도 높아요. 즉시 인터넷을 차단한 후 설치한 앱을 삭제하고, 필요한 추가 보안 조치를 미리 알아두세요.
-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면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신청,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 등록 등 다양한 보호 조치를 실행해야 해요.
[보이스피싱 생존 매뉴얼] #3. 이미 보이스피싱 당했다면?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알려드려요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보이스피싱은 한순간의 방심으로 큰 피해를 불러일으키지만, 즉각적인 신고와 적절한 조치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거든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면 지체 없이 해야 할 ‘긴급 대처법’부터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개인정보 보호 방법’까지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을 빠짐없이 정리해 볼게요.
📱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1단계. 이미 당했다면, 이것부터 확인하세요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시간이 곧 돈이에요. 아래 조치를 빠르게 실행해야 해요.
📍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112) 신고 📍 금융회사 고객센터* 및 금융감독원(1332) 통해 금융 피해 차단 요청 *토스뱅크 고객센터(1661-7654)
또 보이스피싱을 당했다면 핸드폰에 악성 앱이 설치됐을 가능성도 있어요. Android·iOS 운영체제별로 보이스피싱 악성 앱 감염 시 조치 방법이 다르니, 내게 맞는 대처 방법을 확인하고, 바로 대처하세요.


🙅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2단계. 2차 피해, 이렇게 막을 수 있어요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었다면, 단순히 돈을 잃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노출된 개인정보를 악용하여 추가적인 사기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증거를 확보하고, 스마트폰 보안을 점검하며, 개인정보 보호 조치를 신속히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 보이스피싱 증거 확보 필수 • 통화 녹음, 문자, 카카오톡 대화 내역을 캡쳐해 보관하세요. • 피해 금액과 거래 내역을 정리*해 두면 경찰 신고 및 피해 구제 절차에서 활용할 수 있어요. *거래내역확인서, 송금확인증 발급 요청은, 경찰서 신고 선행 후 출금계좌의 은행으로 문의하세요.
💡 필요 시 휴대폰 초기화 진행 • 악성 앱이 완전히 삭제되지 않거나 의심되는 경우, 휴대폰 전원을 끈 채로 제조사 AS센터를 방문 후 초기화하세요. • 초기화 전, 중요한 데이터는 백업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 개인정보 유출 조치 시행 • 보이스피싱 피해로 내 개인정보가 노출되었다면, 추가적인 금융 피해를 막기 위해 즉시 보호 조치도 취해야 해요.
📵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3단계. 개인정보 유출 방지 조치도 알아두세요

보이스피싱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됐다면? 명의 도용과 금융 피해를 막기 위해 아래 10가지 조치를 진행해 보세요.
🆘 피해 직후 긴급상황이라면?
1️⃣ 금융사기 예방 시스템 등록하기 각 은행을 방문하거나, 금융감독원 ‘명의도용 예방 서비스’를 신청하세요. 2️⃣ 명의도용 계좌·카드·대출 조회하기 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3️⃣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신청하기 엠세이퍼(PC), PASS·카카오뱅크 등 모바일 앱, 통신사 직영점 방문 중 하나를 택해서 신청하세요. 4️⃣ 토스 앱 차단 및 보호 조치 요청하기 토스 앱을 활용해 추가 피해를 막는 방법도 있어요.
5️⃣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 신청하기 (대출·카드발급 차단) 은행 창구에 방문해서 신청하면 돼요(해제 시 재방문 필요). 단, 인터넷은행은 비대면으로도 신청할 수 있어요*. *해제 시 비대면 처리 불가, 타행 방문 필요 6️⃣ 소액결제·콘텐츠 이용료 차단하기 통신사 고객센터(114) 또는 통신사 앱에서 직접 차단 설정할 수 있어요.
🚨경찰·은행 신고 후 피해구제절차를 진행하고 있다면?
7️⃣ 신분증 재발급하기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혹시 모를 피해 예방으로 위해 신분증도 다시 발급받는 것이 좋아요.
8️⃣ 공동(금융)인증서 폐기 후 재발급하기 금융인증서 역시 발급 기관을 통해 폐기 후 재발급 진행하면 돼요. 9️⃣ 본인확인 내역 및 가입 사이트 조회하기 개인정보 보호 포털에서 나도 모르게 진행된 본인확인 내역과 가입 사이트를 조회할 수 있어요. 🔟 명의도용 계좌·카드·대출 조회하기 어카운트인포(계좌정보통합관리) 앱 또는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보이스피싱은 한순간의 방심으로 시작돼요. 피해를 입었다면 즉시 신고하고, 금융사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하는 것이 최우선이에요. 악성 앱이 깔렸다면 인터넷을 차단하고 삭제해야 하며, 개인정보 유출이 의심된다면 추가 보안 조치를 서둘러야 해요. 빠른 대처가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거든요.
“보이스피싱 생존 매뉴얼” 시리즈를 통해 요즘 유행하는 보이스피싱의 수법부터 대처법까지 살펴봤어요. 꼭 기억하고, 이 글을 가족·지인과 공유해 더 많은 사람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